1장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

 

01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

인프라 설계

  1. 인프라를 만든 목적을 잘 이해한다.
  2.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기준으로 조건을 정리한다.
  3. 조건에 맞는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한다. 비용, 기간 등을 예상
  4.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.

인프라 구축

  • 작업 내용 : 기기 운반과 조립, 장착, 설치, 설정, 동작 테스트, 부하 테스트 등
  •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거나 오퍼레이터나 외부 업체에 맡김
  • SI(System Integration) 업계
    • CE : 기기 설치 관련 하드웨어 작업
    • SE : 서버나 스토리지 관련 시스템 작업
    • NE : 네트워크 장비 관련 네트워크 작업
  • 웹기반 업계
    • 보통 역할 분담을 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인프라 엔지니어의 몫

인프라 운영

  • 장애 대응
  • 수용량 관리
  •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

 

02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

  • 퍼실리티 : 데이터 센터, 랙, 에어컨, 발전기, 변압기, 소화 설비 등
  • 서버, 스토리지
  • 네트워크 :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

 

03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

정확한 지식, 정보 수집력, 최신 동향

서버 하드웨어

  • 기본 구성
    • 메인보드, CPU(Central Processing Unit), 메모리, 디스크, NIC(Network Interface Card), PSU(Power Supply Unit)
  • 종류
    • IA(Intel Archictecture) 서버
    • 엔터프라이즈 서버

서버 운영체제

리눅스, 윈도, 유닉스

실전 경험이 중요

스토리지

  • 디스크의 대용량화, 플래시 디스크의 등장으로 인한 고속화,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신기술 등장
  • 신기술 : 스토리지 가상화, 씬 프로비저닝, 중복 제거, 스냅샷 등
  •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신중하게 파악하고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 스토리지 선정 필요

네트워크 설계와 구축

  • TCP/IP
  • 네트워크를 보이지 않는 것이어서 네트워크 오류시 원인을 찾아내긴 어려움
    • 통신이 잘 되지 않으면 자신들의 문제인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 문제인지 파악 필요
  • 네트워크 구축시 설계 단계부터 모든 각도에서 검토

네트워크 장비

  • 역할 : 통신의 교환
  • 장비 선정 시 고려할 점
    • 연결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수와 커넥터의 차이
    • 어느 정도의 통신량을 얼마나 빠르게 교환할지
    • 라우터, L2 스위치, L3 스위치, L4 스위치, L7 스위치의 차이 파악
  • 업체마다 명령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업체별 명령 체계를 학습해야 함
  • 특정 업체의 고유 기능을 이용할 때 다른 업체의 장비로 다룰 수 없음
  • 이러한 문제를 피하고자 도입할 네트워크 장비를 통일하는 편

 

04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

정답인 선택지는 없으며, 프로젝트의 성질이나 기업문화 혹은 최종 결재권자의 사고 방식 등에 의해 달라짐

시스템 구성

  • 몇 가지 제안 중에서 최선의 구성을 선택
    • 최소 구성, 이중화 구성, 데이터 영역 분리 구성 등

서버 사양 선정

CPU, 메모리, 디스크, RAID, NIC, PSU의 이중화 필요성, 보수 연수, 보수 레벨, 확장성, 물리적 크기 및 중량 등

네트워크 구성

  • 랙에 몇 개의 스위치를 설치할 것인가?
  • 각 스위치의 수용량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?
  • 채택할 업체
  • 보증 기간
  •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로 통신량을 정하고 이중화 여부를 결정

데이터베이스 설계

  • RDBMS 선정 (오라클, SQL Server, MySQL, PostgreSQL 등)
  • 필요 용량 계산
  •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인 데이터 배치 결정

운영 시스템

  •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직 검토
    • 장애의 발생을 시스템 감시 도구로 감지하고, 장배 발생을 감지했을 때만 사원이 대응한다.
    • 1차 대응은 MSP 업체에 위임한다. 그래도 해결되지 않을 때만 전화 등으로 사원에게 문제를 전달해서 단계적으로 대응
    • 별도의 조직을 만들어 24시간, 365일 감시 운용 시스템 구축
  • 서비스, 기술, 시스템 별로 개발자, 서버 엔지니어, 네트워크 엔지니어 등 사내 책임 범위 결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