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일 오전 10시에 멘토님과 스크럼을 진행한다. 스크럼을 들어본 적은 많지만 실제로 해보는 건 처음이어서 이번 기회에 관련 용어와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.

스크럼이란?

스크럼은 럭비에서 경기가 잠시 중단되었을 때 양 팀 선수들이 공을 중간에 놓고 서로 어깨를 밀착하여 형성하는 전술 대형을 가리키는 말입니다.

 

출처 rugbytoday

오늘날에는 애자일 기법 중 하나로 점진적이고 반복적인 개발 방법을 뜻합니다.

주요 개념

출처 위키백과

제품 책임자(project owner)

  • 제품 백로그를 관리하는 사람으로 단 한 명이어야 함
  • 제품 백로그 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, 매 스프린트 결과를 검토하여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관리

스크럼 마스터(scrum master)

  • 일일 스크럼 회의(daily scrum meeting)를 주관하여 진척도를 모니터링, 팀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책 절차 구조를 공론화하여 처리
  • 업무를 지시 통제 하지 않고, 자원을 지원하거나 장애물을 제거하는 조력자 역할

스프린트(sprint)

  • 과제가 진행되는 주기, 1~4주로 구성
  • 하나의 스프린트가 끝나면 바로 다음 스프린트 시작
  • 스프린트 진행 중에 기간, 과제 가감 등의 변경 불가능

제품 백로그(product backlog)

  • 제품의 모든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한 목록
  • 사업 환경이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 가능

스프린트 백로그(spring backlog)

  • 하나의 스프린트 동안 완료할 과제 목록

진행 방식

  • 매일 15분 정도, 스탠드업 형식
  • 컨디션 공유로 시작
  • 어제 한 일 -> 오늘 할 일 -> 이슈 순으로 진행

 

+ Recent posts